휴대폰 공책5 [핸드폰 매장에서 살아남기] #4 휴대폰 성지, 믿을만한 곳인가? 핸드폰 성지 찾는 방법 휴대폰 성지란 무엇인가? 삼성의 갤럭시 폴더플 핸드폰, Z플립과 Z폴드4가 출시되었다. 이제 아이폰14도 한국에 나온다. 최신폰으로 바로 바꾸려는 사람들은 늘 가던 매장에 가기도 하고, 핸드폰에 대해 이리저리 알아본 사람들은 '핸드폰 성지' 매장을 찾아가기도 한다. 그럼 핸드폰 성지란 무엇인가? 간단하게 말하자면 다른 핸드폰 매장들보다 마진을 적게 남기는 대신 싸게 많이 파는, 즉 '박리다매' 판매방식을 취하고 있는 매장이라고 보면 된다. 이전에도 얘기했다시피 핸드폰 매장의 지원은 모두 판매사들이 받는 판매수수료에서 나가는 것이기에 이 수수료의 대부분을 고객에게 지원해주는 대신 다른 매장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많이 파는 것이다. 일반 판매점과 성지 매장의 차이점 나는 일반적으로 길에 흔히 보이는 핸드폰 판.. 2022. 9. 30. [핸드폰 매장에서 살아남기] #3 통신사별 요금제 표 보는 방법 / 데이터 사용량 확인 나에게 맞는 요금제는 무엇일까? 요즘엔 어딜가나 대부분 와이파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굳이 돈을 더 내면서까지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쓸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에 비해 높은 요금제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을 모른다. 내가 핸드폰 매장에서 근무할 때 요금제 추천을 위해 조회를 해보면 데이터 사용량이 월 50GB가 넘는 사람이 드물었다. 20GB 넘기는 일도 흔하진 않았다. 요즘엔 다들 핸드폰 요금도 자동이체로 해두기 때문에 자신이 매달 얼마를 내고 있는지 잘 모르는 사람도 많다. 사람들은 핸드폰 매장에서 개통했을 당시의 요금제를 그대로 사용 중이거나 판매사가 추천했던 요금제로 바꿔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나이가 많을.. 2022. 8. 27. [핸드폰 매장에서 살아남기] #2 선택약정과 공시지원금의 차이와 위약금 약정의 종류 핸드폰 매장에서 핸드폰을 바꿀 때 약정은 크게 선택약정, 공시지원금, 무약정 이렇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무약정은 말 그대로 약정은 들지 않고 통신망을 이용하겠다는 것이라 할인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핸드폰 매장에서도 무약정으로 핸드폰을 바꿔주지 않는다. 판매수당이 전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핸드폰을 바꿀 때 적용되는 약정은 두 가지란 이야기인데, 각각 하나씩 어떻게 할인을 받는 건지, 기간은 어떻게 되는지, 위약금은 어느정도인지 설명할 것이다. 선택약정이란? 선택약정은 보통 선약으로 줄여서 말하며 사용하는 요금제에서 매달 25%할인 받을 수 있는 약정이다. 기간은 12개월 또는 24개월 중에 선택이 가능하다. '요금제'의 25% 할인이지 매달 청구되는 요금의 25%가 아니기 때문에.. 2022. 8. 24. [핸드폰 매장에서 살아남기] #1 핸드폰 약정과 할부의 차이 약정과 할부는 별개로 봐야한다. 약정이란 이 핸드폰(또는 번호)을 이 통신사에서 특정 기간동안 사용하겠다고 약속하는 계약 기간이라고 보면 된다. 할부는 우리가 신용카드로 물건을 사면서 할부로 결제하는 것처럼 핸드폰 기기값을 특정 기간동안 나누어서 내는 것이다. 사전의 뜻부터 알 수 있듯 약정과 할부는 다른 개념이다. 약정과 할부는 각각 따로 설정이 가능하다. 약정은 12개월 또는 24개월 중 선택이 가능하며 그 이상의 기간으론 불가능하다. 그와 다르게 할부는 6개월, 12개월도 가능하며 최대 48개월까지 가능하다. 핸드폰 매장의 지원을 빵빵하게 받고 알뜰폰으로 넘어가고 싶은 경우엔 12개월 약정을 활용하면 좋다. 기본적으론 모든 통신사가 약정 12개월이 가능해야 하지만 가끔 통신사와 매장을 이어주는 거래.. 2022. 8. 2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