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맞는 요금제는 무엇일까?
요즘엔 어딜가나 대부분 와이파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굳이 돈을 더 내면서까지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쓸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에 비해 높은 요금제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을 모른다. 내가 핸드폰 매장에서 근무할 때 요금제 추천을 위해 조회를 해보면 데이터 사용량이 월 50GB가 넘는 사람이 드물었다. 20GB 넘기는 일도 흔하진 않았다. 요즘엔 다들 핸드폰 요금도 자동이체로 해두기 때문에 자신이 매달 얼마를 내고 있는지 잘 모르는 사람도 많다. 사람들은 핸드폰 매장에서 개통했을 당시의 요금제를 그대로 사용 중이거나 판매사가 추천했던 요금제로 바꿔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나이가 많을 수록 더욱 그렇다.
오늘은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을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월 요금을 찾을 수 있는 글을 포스팅 할 것이다.
요즘엔 5G 위주로 핸드폰이 출시되고, 사용되기 때문에 요금제표는 5G를 기본으로 가져왔다. LTE 요금제표도 보는 방법은 동일하기 때문에 LTE 핸드폰이나 요금제를 사용 중이더라도 표를 보는 것은 문제 없을 것이다.
SKT 요금제

현재 알뜰폰이 아닌 일반 통신3사에선 기본적으로 전화, 문자 무제한을 깔고 간다.
위 사진은 데이터, 전화, 문자 순으로 적혀있다. 문자 기본제공은 무제한이라고 보면 된다. 내가 근무했을 당시만 해도 개통할 때 사용하는 요금제는 '5GX 프라임'이었다. 선택약정 반영 금액은 선택약정일 경우만 해당되니 월정액으로 보아야한다. 데이터에 '무제한'이라고 적혀있는 경우엔 제한이 없이 완전 무제한이라는 것이다.
중요한 건 그외 요금제들이다. 예시로 5GX레귤러 요금제엔 데이터가 110GB만 제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다 쓰고나면 5Mpbs의 속도로 추가요금이 발생하지 않고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다. 슬림은 11GB의 데이터를 다 사용하고 나면 1Mbps의 속도로 제한되며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데이터는 한 달에 제공되는 총량을 써놓은 것이며 소진 시 속도제한이 걸리지만 추가요금 발생 없이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이건 LTE 요금제 중 0플랜만 캡쳐해온 것이다. 보는 방법은 5G와 동일하며 마찬가지로 기본제공 데이터가 끝나면 속도제한이 걸리면서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하다. 0플랜 요금제는 만 24세 이하만 가입이 가능하며 T플랜 등의 비슷한 가격대의 요금제들에 비해 데이터나 부가적인 서비스가 더 많이 제공된다.
예시로 T플랜의 33,000원짜리 요금제는 데이터가 1.5GB제공되고 소진 시 추가요금이 발생하지만 같은 가격인 0플랜 스몰은 기본제공 데이터부터 2GB로 조금 더 많이 주며 소진 후에도 매우 느리지만 추가요금 발생 없이 데이터 사용이 가능하다.
KT 요금제

KT는 모든 요금제에 데이터 무제한이라고 적어놓았지만 기본 제공량 소진 시 속도제한이 걸리는 것들은 따로 괄호 안에 표시를 해두었다. 월정액에 따른 데이터 제공량은 3사 다 비슷한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내가 근무 당시 개통 요금제였던 5G 초이스 요금제들은 OTT 같은 구독서비스를 요금제 안에 녹여서 같이 제공하는데 데이터 사용량이 많지 않다면 굳이 계속 사용할 필요는 없다. 낮은 요금제 쓰고 따로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더 저렴하다.

KT도 SKT와 마찬가지로 나이제한이 있는 요금제가 있다. 위 요금제는 LTE요금제들이며, SKT처럼 같은 가격대에 비해 데이터 제공량이나 추가적인 혜택이 더 많다는 점이 동일하다. 또한 KT는 만 29세까지 가입이 가능하다.
Y요금제는 각 나이대별로 이름이 조금씩 다른데, Y틴은 만 18세까지만 가입 가능한 청소년 요금제고 Y주니어는 만 12세까지 가입 가능한 어린이 요금제라고 보면 된다. 성인이 청소년이나 어린이 요금제를 가입할 순 없지만 반대로 청소년, 어린이가 성인 요금제는 가입 가능하니 비교해보고 사용자에게 맞는 걸 선택하면 된다.
LG 요금제


LGU+의 요금제 표를 보는 건 SKT와 동일하다. 내가 핸드폰 매장에서 근무를 시작할 당시엔 개통 요금제가 '프리미어 에센셜'로 85,000원이었는데 몇 달 후 95,000원짜리로 바뀌었다. 정확하겐 85요금제로도 개통이 가능하나 95요금제와 판매수당 차이가 꽤나 컸다. 그리고 퇴사 직전엔 105,000짜리 요금제로 개통을 하도록 유도하는 정책들이 나왔다. 어디까지 올라갈지 궁금하다.
LGU+는 다른 통신사들과 다르게 성인 요금제 중에 나이제한이 있는 건 없다. 하지만 LTE 요금제의 경우 '추가요금 걱정 없는 데이터' 일명 '추걱데' 요금제로 누구나 가입 가능한 저렴한 무제한 요금제들이 있다.
데이터 사용량 확인 방법
평소 나의 데이터 사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다면,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엔 핸드폰 설정에 들어가서 '데이터 사용'을 검색하면 볼 수 있다. 각 통신사별 고객센터 어플(T월드, 마이KT, LGU+고객센터 등)을 이용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어플 내에서 확인하는 곳을 못 찾겠다면 114에 전화해도 확인이 가능하다.
평균 사용량이 15GB 이하면 55,000원짜리 요금제를 사용해도 큰 불편함은 없을 것이다. 애매하게 15~20GB 사이를 사용한다면 바로 69,000원 요금제를 사용하기보단 55,000원짜리 요금제를 사용해보고 불편하면 그 후에 변경하는 걸 추천한다.
'휴대폰 공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 매장에서 살아남기] #4 휴대폰 성지, 믿을만한 곳인가? 핸드폰 성지 찾는 방법 (2) | 2022.09.30 |
---|---|
[핸드폰 매장에서 살아남기] #2 선택약정과 공시지원금의 차이와 위약금 (2) | 2022.08.24 |
[핸드폰 매장에서 살아남기] #1 핸드폰 약정과 할부의 차이 (2) | 2022.08.23 |
핸드폰/휴대폰 구매 전 알아야 할 것들 알려주는 김공책 (2) | 2022.08.20 |
댓글